이 글에서는 컬처 덱을 제작하기에 앞서 여러 기업들의 사례를 조사하고
그 차별점을 분석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현재 나이스데이에서는 조직 문화 진단 설문을 바탕으로 컬처 덱 제작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Chat GPT에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없는 컬처 덱 위주로 가져왔습니다.
각 기업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 컬처 덱 개요, 그리고 제가 인상 깊게 본 부분들을 설명드릴게요.
작성자 정보
🍊 금귤
IT 스타트업 재직 중인 만 27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
1. 네오테크 (Google Drive, pdf.)
네오테크는 모빌리티 엔지니어링 및 제조 전문기업이자 튜닝의 기준을 만드는 튜닝 수퍼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컬처 덱 전개 방식과 전체적 어조나 조직 문화에서 시원함이 느껴져서 제가 가장 선호하는 컬처 덱입니다. 왜 그렇게 느꼈는지 조금 더 아래에서 설명드릴게요!
특히나 미션, 비전, 핵심가치를 한눈에 보여주는 ‘비전하우스’만 봐도 뇌리에 남습니다.
개요
컬처덱이 사용되는 상황
우리는 누구인가 : 정체성
우리의 방향 : 방향과 전략
우리의 일과 체계
채용과 온보딩 : 우리가 사람을 대하는 방법
문화와 제도 : 우리가 문화를 성장시키는 법
끝마치며 : 컬처덱을 마치며 드리는 말씀
직무별로 마인드셋과 스킬셋을 각각 구분해 인재상을 다르게 작성해 이런 부분에서도 세심한 고민이 느껴집니다. 만남뿐만 아니라 이별도 중요하게 여기는 오프보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퇴근 눈치 보지말고 남아 있는 사람을 위한 임금과 대우는 ‘회사가 책임진다.’ 이 한마디로 굉장히 멋집니다.
회식 대신 워크샵을 지향하여 워크샵을 1년에 6번 간다고 하는데요!
성장지향적이고 의식수준과 비전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노력 중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컬처 덱을 담당한 TF Team Letter, CEO Letter를 전합니다.
2. gakuto lab (google slide)
가쿠토라보는 「학생・젊은이」와 「지역・기업」을 연결하는 데 특화된 코디네이터 기관입니다.
문화 원예 팀에서 성장하는 장소를 정돈하는 정원사와 같은 존재이고 싶다는 의미로 컬쳐를 가드닝’한다는 말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기본 규칙을 기반으로 회사 존재 이유를 중심으로 삼고, 가쿠토라보의 특징을 가드닝이라는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현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1. 문화 데크 (Culture Deck)
Culture Deck은 시대의 변화와 새로운 멤버의 참여에 따라 모든 구성원의 마음과 해석을 공유하는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가쿠토라보는 공통의 가치관과 바라는 모습을 Purpose, Culture, Ground Rules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 멤버가 자신의 개성을 발휘하면서도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아가기 위한 것입니다.
가쿠토라보의 미션과 비전을 곱씹으며, 지금까지 쌓아온 소중한 경험과 앞으로 간직하고 싶은 가치를 언어로 표현하는 작업에 임해 Culture Deck(문화 덱)으로 정리하였다고 합니다.
2. 목적 (Purpose)
목적이란 '회사의 존재 의미'를 말합니다. 앞으로도 변함없이 우리만의 고유한 존재 방식을 소중히 여기며,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필요한 존재로 남기 위해 가쿠토라보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3. 문화 (Culture)
문화란, 창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가쿠토라보와 그곳에 모인 우리들이 소중히 여겨온 "특징"이 스며든 것입니다. 또한, 이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키워나가고 싶은 마인드이기도 합니다.
4. 기본 규칙 (Ground Rules)
기본 규칙이란, Purpose를 구현하기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입니다. 이는 가쿠토라보의 공통된 마음가짐으로 삼고, 각 프로젝트나 팀에 맞춰 독자적인 마음가짐을 추가로 설정해 나가자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3. 제주특별자치도 개발공사 (pdf.)
제주특별자치도 개발공사는 제주 자원으로 가치를 창출하여, 도민의 삶의 질 증진과 제주 발전에 앞장서는 1등 공기업입니다.
‘조직 문화가 걸어온 길’이라는 부분에서는 조직 문화를 개발해온 과정과 구성원 참여의 발자취가 담겨서 기업 연혁 만을 다룬 여러 컬처 덱에서 볼 수 없었던 신선한 요소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인 구성은 각 개요별로 1~2장(3~4p)으로 간결하게 정리되어 있어 깔끔한 인상을 줍니다.
일하는 공식은 [원칙설명] - [일러스트] - [행동원칙] - [체크리스트]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개발공사는 JPDC형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조직문화 리더를 선발하며, 이들은 꿈꾸는 미래상을 손글씨와 손그림으로 표현하여 마무리하는 점이 희망적인 인상을 남깁니다.
개요
CEO 인사말
미션 & 비전
조직문화가 걸어온 길
조직문화 전략체계
일하는 공통된 상식
조직문화 Leaders 마당
4. 블루시그넘 (flipsnack)
블루시그넘은 사람들이 더 나은 감정으로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블루시그넘의 비전은 ‘전 세계 사람들의 우울한 날 가장 먼저 찾을 수 있는 이름이 되는 것’입니다.
아마 이 비전을 듣고 한번씩 블루시그넘의 서비스인 ‘하루콩’이나 ‘무디’를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전체 이미지의 대부분을 구성원의 사진으로 채워 한명한명이 대체할 수 없는 막강한 존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블루보드라는 특별한 내부 협업 프로덕트는 블루 시그넘의 업무 방식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MOKA라는 목표 관리 방식도 소개하며 타 기업의 방식을 따라하기 보다 조직 문화에 적합하도록 바뀐 프레임워크가 인상적입니다.
개요
BlueSignum (블루시그넘이란)
Product (블루시그넘이 만드는 것)
Culture (블루시그넘만의 문화)
Talent (블루시그넘이 찾는 팀원)
Partner (블루시그넘과 함께하는 사람들)
5. 버즈빌 컬처 북 (pdf.)
buzzvil는 혜택 중심의 AI 풀 퍼널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이 컬처 북은 문화에서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변화시킬지 고민하며,
구성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핵심 가치는 태도와 행동방식을 x, y축으로 시각화하여 1사분면에 표현합니다.
2사분면과 4사분면을 통해 가치에 대한 혼란을 줄일 수 있도록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각 가치에 대해 공감했던 경험을 구성원의 목소리로 직접 전달합니다.
또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첨부하여 실제 구성원들이 가치에 어느정도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가치는 실제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는지 명확하게 설명되며, 주로 리더급 구성원의 견해를 통해 내재화되어 있었습니다.
개요
소개
미션
비전
핵심가치
핵심가치 내재화 내용
4세대 컬처북의 뒷 이야기
컬처 커미티 소개
미래의 버즈빌리언에게 전하는 CEO의 말
6. 일루미나리안 (pdf.)
일루미나리안은 미국 Solariant Capital의 100% 출자로 2017년 7월 설립된 IT R&D 센터로, 현재는 해외에서 론칭할 크라우드 펀딩 투자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Ideals into Reality’라는 슬로건으로 제가 굉장히 좋아하는 말입니다. 이 기업은 사회와 환경에 빛을 밝힐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좋은 업무 환경 안에서 각 팀원들의 능력과 책임감 그리고 서로에 대한 믿음, 존중, 배려가 있다면 최고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함께 성장하고 누구나 꿈꾸는 착한회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가 소속한 ‘나이스데이’ 또한 좋은 환경에서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내일이 기대되는 회사를 꿈꾸고 있기에 일루미나리안의 슬로건과 비전에 크게 공감하였습니다.
특히 놀라운 점은 주 4일제와 자율 재택근무제까지 운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조직 문화를 잘정립하지 않았다면 분명 어려운 제도였을텐데 구성원도 이를 지속하기 위해 자율과 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요
1. 우리에 대해 (About Us)
일루미나리안, 역사, 브랜드 혼, MVC, 인재상, 팀 일루미나리안, 주요 규정(근무, 복지, 채용, 온보딩)
2. 문화
열린마당, 열린게시판, 조직문화스터디, 팀빌딩, Slack 활용, 근무 문화
3. 사업 (Busincess)
Energy Shares JP, Energy Share US, Music Shares
7. 딜라이트룸 (flipsnack)
딜라이트룸은 전 세계 8,200만 명의 아침을 깨우는 알라미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시작을 열며 컬처 덱이 딜라이트룸의 방향성 기준이 되는 나침반임을 설명합니다.
첫 번째로, 딜라이트룸의 기원을 통해 초심을 다시 새기고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지를 전하며, 그 과정에서 쌓아온 경험을 공유합니다.
또한, p36-39의 제품 관련 용어집은 독특한 구성이었습니다.
조직 내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온보딩과 원활한 협업을 돕는데 기여하여, 같은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소속감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 파트는 큰 목차 하나를 ‘Product(제품)’으로 구성하여 ‘알라미’라는 제품 하나에 9년간 집중해온 딜라이트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품 로드맵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어 집중하겠다는 의지가 느껴졌습니다. 알라미 사용자의 리뷰를 통해, 앞으로 기업명 'Delightroom'에 담긴 의미처럼 사용자를 기쁘게 하는 공간을 함께 설계할 기대감으로 가득 차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앞서 설명한 정신과 제품에 대해 어떻게 지키고 행동하고 있는지를 다루며, 이를 위해 구성원이 앞으로 수호해야할 가치를 소개합니다.
목차
컬처덱의 의미
정신 : 기원, 성장, 하는 일, 슬로건, 미션과 비전, 가치, 사용자, 시장, DNA, 소통 방식, 언어, 조직, 인재상
제품 : 수익 모델, 성과, 제품 경험. 사용자의 리뷰, 제품의 시작부터 현 위치와 앞으로의 방향성
행동 : 일하는 방식, 스쿼드, 그룹(부서명, 팀),역할 소개, 소통과 미팅 문화 소개, 딜라이터 DNA 체크리스트, 온보딩 과정, 인사제도, 수호하는 4가지 키워드
8. BRICKS8 (Google Drive)
브릭스에잇[BRICKS8]은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것들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마케팅 / 브랜딩 에이전시 입니다. 전반적으로 ‘벽돌’, ‘쌓다’라는 이미지를 비주얼 정체성으로 잘 표현하였으며, 특히 픽셀을 연상시키는 타이포그래피가 눈에 띕니다. 우리가 왔던 길, 우리가 집중하는 것, 그리고 우리가 갈길을 3장으로 풀어낸 점이 좋았습니다.
꿈과 이상도 중요하지만… 자본주의 시대에서 제일 중요한, ‘우리가 돈을 버는 방법’이라는 명확한 표현이 인상적입다.
인트로
1. 기반(Foundation)
1-1. 우리의 기원
1-2. 우리가 다루는 것
2. 빌더링(Build(er) -ing)
2-1. 우리가 돈을 버는 방식
2-2. 그동안 우리가 이뤄온 것들
3. 유지(Maintenace)
3-1. 우리의 조직 구조
3-2. 우리가 일하는 방식
3-3. 우리의 소통 방식
3-4. 우리의 성과/보상 관리 체계
3-5. 빌더 체크리스트
9. 센트랄그룹 (pdf.)
센트랄 그룹은 모든 이동 수단에 안전한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핵심 기업’을 추구하는 자동차 부품 회사입니다.
글로벌 가이드 답게 ‘다양성과 포용성’을 한 챕터로 두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성장해온 만큼 수상 내역이 눈에 띄어 부러웠습니다. 직원들은 “기존에 있던 핵심 가치와 CENTRAL
Way로 회사가 지향하는 바는 알겠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할지는 모르겠다.”고 이야기하며 CENTRAL Way 실전편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시각화함으로써 핵심가치에 맞는 태도와 행동을 더욱 잘 새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개요
01 센트랄그룹 소개
연혁, 수상, 창업주 및 회장 소개
02 센트랄그룹의 다양성과 포용성
센트랄그룹의 현재, 다양성의 포용, 다양성과 포용의 중요성
03 센트랄그룹 가치체계
가치체계, 경영철학, 비전, 핵심가치
10. (주)플레이스5_김과외(pdf.)
김과외는 사람들이 효율적 성장과 그에 대한 투자를 돕는회사입니다.
‘주 4일제’, ‘자유로운 연차 사용’, ‘출퇴근 유연제’와 같은 구성원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바탕으로한 제도들이 돋보였습니다. 이 외에도 플레이스5만의 조직 문화를 기반으로 한 ‘마음건강 지원’ 등 여러 혜택들이 인상적입니다.
이 컬처 덱에서는 회사에서 참고할 만한 기본적인 내용들이 수록되어 참고하기 좋습니다.
목차
소개
역사
서비스
미래
구성원
팀
일 잘하는 방법
혜택
문화
채용
지금까지 10가지 기업의 회사 소개와 조직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컬처 덱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조직 문화는 기업의 경영 철학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조직 문화를 정립하고 이를 모아 구성원들이 자주 보며 내재화할 수 있는 자료로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아티클이 여러분의 조직 문화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